스마트폰 중독을 진단해보자
노모포비아(Nomophobia)로 정의되기도 하는 스마트폰 중독 현상에 대해서는 해가 지날수록 위험성이 점점 많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우리는 하루 평균 4시간 이상 스마트폰의 화면을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옛날에는 TV 중독에 대해서 말이 많았고 문제시되었지만, 지금 스마트폰 중독에 비하면 그다지 큰 문제가 아니었을 수도 있겠군요.
스마트폰은 탄생한 지 10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들의 뇌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연구된 게 부실한 상태입니다. 최근에야 일부 논문이 발표되기 시작했지요.
예를 들어 올해 1월에 미국의 미주리 대학이 발표한 연구 논문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 스마트폰에서 멀어졌을 때 불안 증후군과 같은 증상을 나타내고 정상적인 사고를 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즉, 어느샌가 스마트폰이 자신의 일부처럼 되어버렸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배터리가 파손되거나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 빠질 경우에는, 무기력함과 불안을 많이 느끼게 된다는 것입니다.
스티브 잡스는 자녀에게 스마트폰을 주지 않았다고 하는데, 스마트폰을 세상에 내보낸 장본인이 자기 자녀에게 스마트폰 기기를 주지 않았다는 사실은 좀 더 생각해볼 만한 일인지도 모릅니다.
스마트폰 의존도를 진단해보자
자신이 스마트폰 중독에 빠져있는지 판정해보도록 할까요?
다음은 미국의 아이오와 대학에서 개발된 스마트폰 의존도(Nomophobia)를 진단하기 위한 테스트입니다. 메모할 종이 한 장을 준비하고 각각의 질문에 1 ~ 7점으로 점수를 달아주세요. 100%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7, 동의하지 않는 경우에는 1입니다. 50% 정도 동의하면 3~4점으로 매기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모든 점수를 합산해주세요.
1. 스마트폰에서 계속 정보를 얻지 않으면 불쾌하다.
2. 원하는 순간에 폰에서 정보를 얻지 못하면 짜증이 난다.
3. 뉴스, 가십거리를 폰으로 체크하지 못하면 예민해진다.
4. 폰을 쓰고 싶을 때, 폰 자체나 그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면 좌절한다.
5. 스마트폰의 배터리 잔량이 적어지면 강한 불안감을 느낀다.
6.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월별 잔여 데이터 용량이 모두 소진되면 패닉을 일으킨다.
7. 전파가 들어오지 않거나 WiFi에 잘 연결되지 않으면 연결 여부를 자주 체크한다.
8. 폰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어디선가 대기하게 되면 불안해진다.
9. 잠시라도 폰의 화면을 끄게 되면 금세 다시 확인하고 싶은 충동이 든다.
스마트폰을 들고 있지 않게 되면?
10. 바로 가족이나 친구에게 연락이 되지 않아서 불안하다.
11.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연락을 계속 유지할 수 없어서 걱정된다.
12. 문자를 받거나 음성 통화를 할 수 없어서 짜증이 난다.
13. 가족이나 친구들과 연결이 되지 않아서 걱정된다.
14. 누군가 자신에게 연락하려 했는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불안하다.
15. 가족 혹은 친구와 상시 연결할 수 있었던 상태가 끊어졌기 때문에 불안하다.
16. 자신의 온라인 정체성과 연결이 되지 않아 불안하다.
17. 소셜 미디어 및 기타 네트워크에서 최신 정보를 얻을 수 없어서 불편하다.
18. 아무 연결, 알림이 없기 때문에 이상한 느낌이 든다.
19. 이메일을 체크할 수 없어서 불안하다.
20. 무엇을 해야 할지 몰라 이상한 느낌이 든다.
판정
20점 미만: 스마트폰 중독 걱정은 없습니다. 당신과 스마트폰의 관계는 지극히 건전합니다.
21-60점: 가벼운 스마트폰 중독입니다. 집에 스마트폰을 두고 오거나 전파와 Wi-Fi가 들어오지 않으면 다소 불안해집니다. 다만 불안의 수준은 높지 않습니다.
61-100점: 중도의 스마트폰 중독입니다. 스마트폰에 크게 의존하고 있습니다. 걷고 있을 때나 친구와 이야기하고 있을 때도 스마트폰을 체크하고 있으며, 당연히도 Wi-Fi 및 인터넷 통신이 되지 않으면 불안합니다.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101-120점: 중증 스마트폰 중독입니다. 폰을 보지 않고 1분 이상 지내기가 힘들 정도입니다. 아침부터 밤까지 끊임없이 스마트폰을 보고 있는 것 같다면 즉시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디지털 디톡스를 추천합니다.
저의 경우에는 가벼운 스마트폰 중독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습니다.
여러분의 경우에는 어떠셨나요?
너무 높은 점수가 나온 경우에는 스마트폰에 대해 심각하게 다시 생각해두는 것이 좋을지도 모르겠네요.
'이슈,가십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몬 위메프 사태 (0) | 2024.07.27 |
---|---|
애플과 퀄컴 소송 합의하다. (0) | 2019.04.22 |
후쿠시마를 먹자, 일본 부흥청 홍보만화 (0) | 2019.02.03 |
INF(중거리 핵전력 조약), 미국 러시아 탈퇴 선언 (0) | 2019.02.02 |